PPP에 대한 이해

책 표지 이미지

PPP 자금 동원 핵심 전략

PPP는 고도의 금융 '전략'입니다. 엄격한 조건과 검증된 참여자들을 통해 설계되는 자금 형성 계획으로, 명확한 목표를 가진 능동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PPP란 무엇인가?

🧑‍💼

누가 (Who)

검증된 최상위 트레이더가 거래의 주체입니다. 성패는 이들의 역량과 신뢰도에 달려 있으며, 극소수의 자격을 갖춘 전문가만이 실행 가능합니다.

📄

무엇을 (What)

은행 증서(Bank Instruments)를 활용합니다. MTN, SBLC 등 은행 보증 금융상품을 프라이빗 시장에서 거래하여 수익을 창출합니다.

🤝

어떻게 (How)

사모 투자 프로그램으로 진행됩니다. 자격을 갖춘 소수 투자자를 대상으로 비공개로 진행해 보안성과 의사결정 속도를 높입니다.

핵심 성과 지표 (KPIs)

👨‍💼

Top 5% 트레이더 계약

수익 창출 가능한 최상위 트레이더와의 계약이 첫 관문입니다. 수많은 브로커 중 진짜 전문가 식별이 핵심입니다.

🏛️

SEC Rule 144A 플랫폼

합법적 보호 하의 거래임을 증명합니다. 법적 안정성과 투명성을 담보하여 투자자 신뢰를 형성합니다.

📈

10x Max 레버리지 한도

무분별한 위험 추구를 억제하는 리스크 관리 프레임입니다. 단기 고수익보다 장기 안정성을 우선합니다.

💰

40%+ 주간 목표 수익률

폐쇄적 은행 간 시장이기에 가능한 수익 잠재력입니다. 단, 이는 목표이며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조달 자금, 어디에 사용하는가?

PPP는 자금 조달 수단일 뿐, 목표가 아닙니다. 조달 자금은 아래와 같이 명확한 비전과 정당성을 가진 성장 동력에 투입됩니다.

신재생에너지40%
미래 기술 (AI, 로보틱스)35%
바이오 / 헬스케어25%

4대 핵심 성공 원칙

법적 투명성 확보

SPC(운영)와 SPV(실행) 법인을 분리하여 리스크를 격리하는 법적 방화벽을 구축합니다. 특정 사업 실패가 전체로 전이되는 것을 차단합니다.

안전한 자금 관리

원금은 중립 제3기관 에스크로(Escrow)에서 관리합니다. 조건 충족 시에만 인출되어 원금 손실 위험을 최소화합니다.

전문가 네트워크 선정

신뢰 가능한 트레이더·합법 플랫폼 선택이 최우선입니다. 철저한 실사(Due Diligence)로 사기 위험을 제거합니다.

체계적 리스크 관리

법률·레버리지·포트폴리오 전 영역을 종합 관리합니다. 장기적 안정성을 위한 필수 요건입니다.

"검증된 전문가 네트워크와 법적 구조를 기반으로 안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고수익 자금 조달이라는 목표를 현실로 만듭니다."


[PPP 개론]


1. PPP 대한 이해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았던 금융 시장의 다양한 기법들 요즘 관심을 끌고 있는 파생상품중 하나인 PPP 구조와 운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Private Placement Opportunity Program 또는 Private Placement Investment Program라고도 불리는 PPP 글로벌 금융시장에서 50 년의 역사를 가진 부분으로 2 세계대전 이후부터 발전하기 시작하여 금융 선진국인 미국을 중심 으로 영국과 독일 주요 자본 시장 구성국들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미국증권거래법 SEC Rule 144A 기초한 트레이딩 방식으로, SOC, Infrastructure, Humanitarian Projects 투자되어 표면적으로는 공익 또는 공공 프로젝트의 완성을 돕는것을 목적으로하며, 비상장, 나스닥에 고시되지 않는 증권 등을 기관투자자(Qualified Institutional Buyer=Trader) 다른 기관(은행,투자운용사,재단 ) 은행증서를(Bank Instrument : CD, MTN, SBLC, BG, Bond, PN, DI) 전매하도록 허용한 규정으로 운용투자자산 규모 USD 1억이상의 자격을 갖추면 SEC등록 면제해주어, 국제금융그룹의 이너써클 트레이더들만이 거래 있습니다.

오늘날에는 모건스탠리 골드만삭스 주요 전문금융기업과 City group, HSBC Holdings, Bank of America, Royal Bank of Scotland, UBS World Top 25 순위에 드는 금융기관들의 자체 자본증식이나 거대자본 통용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PPP 다양한 형태의 지급보증부채(Bank Instruments: MTN, SBLC, BG, Bond, PN, DI ) Trading으로 고수익을 창출한다. PPP 거래의 단위는 프로그램에 따라 최소 US$10Million부터 시작하여 일반적으로 US$100Million~500Million 그리고 크게는 US$1Billion~100Billion까지 범위에서 거래가 이루어지며, 통상 원금의 배를 뛰어넘는 High Income 프로그램의 종류에 따라 1~4 또는 42주나 1 이내에 가져다 주는 구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인들에겐 상식적으로 이해되지 않으나, 일반인들이 접근하기 힘든 폐쇄적 구조와 소수의 Trader 주도하는 독점적 구조(Bank Inner Circle) 인하여 Public 공개되지 않고 Private 시장을 주축으로 거래내용, 이해하기 힘든 투자기법, 투자유형, 투자의 액과 수익, 그리고 생소한 용어와 절차 등으로 인해 전문금융 기관 조차도 자유로운 시장 참여가 어려운 난이도 높은 투자시장으로 알려져 있다.


실재로 PPP 오랜 역사를 가진 금융활동임에도 불구하고 금융계에 종사하는 사람들뿐 아니라, 전문 투자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까 지도 PPP 대한 전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있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다.

PPP 주로 파생상품으로 거래를 주도하는데, 주로 미국의 화폐발행을 주관하는 FRB 포함한 금융당국의 상위그룹도 함께 개입하여 진행한다. 세계 금융 결재기구에 따르면 2013 하반기에만 파생상품의 거래규모가 미국 경제규모의 수십 배에 달하는 693 달러 라고 한다.


거래에 개입하는 거대 금융그룹의 주요 목적과 역할은 영향력이 떨어져가는 달러화의 유통속도를 조절하여 헤게모니를 계속 유지하는 것이며, 그룹들은 국제 금융법규에 크게 구애를 받지 않고 오히려 국제금융기구를 조정하는 주체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부에서 일체 없는 그들만의 특별한투자 프로그램으로 국제적으로금융증서 거래를 시작하게 것이 PPP 배경이다. 무한대의 금융자산과 시스템 그리고 다중 결재기구를 관장하며 아무런 법률적 구속 없이금융투자프로그램 조직할 있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라 있다.


2. Private Placement Program(PPP) 개념

PPP 프로그램을 주도하는 Trader들의 성향과 마켓에 따라 기본적인 틀은 같지만 조금씩 다른 방식의 PPP 구사합니다. 가장 짧은 1 프로그램인 “1 Day Bullet Program”부터 일반적인 '40Week Program', 그리고 모든 프로그램의 최상위 클래스로 분류되는 'SPPP'까지 모든 다양한 방식을 이해하려면 먼저 PPP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필요합니다.


PPP 인터넷과 정보의 발달이 있기 까지는 일반에 알려지기 힘든 사업내용과 독특한 거래환경의 특성 때문에 베일에 가려진 고수익 금융상품 정도로만 알려져 왔습니다. 그러나 최근 활발한 정보활동과 인터넷 환경의 급속한 확산으로 인하여 PPP SPPP 대한 정보들이 일부분 들어나고 인식이 확산되면서 많은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지만 부분적으로 정보를 접하고는 있어도 자세한 내용을 총괄적으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여기에 소개되는 내용들은 단순한 정보적인 내용이 아닌 실무와 경험에 근거한 내용들이니, 금융을 이해하는 전문인들은 물론이고 비전문인들까지도 PPP/SPPP 개념과 방식을 이해 할수 있도록 최대한 쉽고 간결하게 설명 하겠습니다.


3. 자금과 이윤의 창출

PPP 다양한 국제금융을 이용하여 자본을 움직이고 그에 상응하는 이윤을 창출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지만 모든 경제활동이 그러하듯, 기본적인 매도/매수의 틀에서부터 시작합니다.


[] 갑이라는 사람이 을에게 $100 돈을 빌리면서 댓가로 한달 후에 $120 돌려주기로 가정합시다. 그리고 갑은 을에게 돈을 돌려주는 조건으로 미리 $120 채무증서를 작성해서 주고 을은 약정서를 받고 약속된 날짜에 돈을 빌려주기로 약속을 합니다. 이로서 을은 실제로 돈이 갑에게 건네지기 전에 $20 이윤은 이미 창출이 되었고 이로 인해 을의 경제적인 이윤은 약속 되어진 것이라 있습니다.

 을이 만일 채무증서를 병이라는 친구에게 $110 팔기로 하였다면, 병은 $110투자로 한달 후에 $10 이윤을 보장받게 되고, 을은 아무런 투자도 하지 않고도 중간거래의 이윤으로 즉시 $10 남기게 됩니다. 을의 이러한 활동을 전문적으로 확대를 하기 위해 갑과 같이 돈이 필요한 사람들을 확보해 다양한 채무증서를 확보하고, 동시에 이러한 채무증서를 다양하게 할인된 가격으로 사기 원하는 병과 같은 사람들을 확보한다면 을로서는 페이퍼 거래만을 통한 이윤을 만들게 됩니다.


확대를 하자면 이러한부채를 통한 이윤의 창출 오늘날의 많은 국제 금융회사들이 구사하는 거대 이윤창출의 방식 중에 비중을 차지하는 방식입니다. 이들은 보다 구체적이고 조직적인 차원의 다양한 Bank Instruments라는 수단을 통해 실제자본을 이용하지 않고도 눈에 보이지 않는 거액의 돈을 효율적으로 거래함으로 이윤을 만들어 냅니다. 비단 이들뿐만이 아니라, 이러한 부채상환방식의 Bank Instruments 개인이나 회사, 어떤 사회적 조직이든 활용할 있고, 책임에 의한 약속으로 이윤계약은 성립이 됩니다.


합법적인 기업, 또는 개인이 자금을 끌어다 쓰기 위해 1 상환조건의 Debt Note 작성하여 판매하는 것을 디스카운트라고 합니다. 실제로 Debt Note Value 채무자의 Credit 따라 금액의 고하를 막론하고 얼마든지 작성할 있는데, Debt Note 싸게 구매하는 사람의 입장에서 채무자의 경제적인 능력과 신뢰가 있다면 사실상 금액의 Value 문제가 되지 않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Debt Note 중간에서 거래하는 자가 우량한 Debt Note임을 보증 책임질 있는 Credit 있고, 더불어 Debt Note 대한 보증까지 자신이 제시한다면 안전한 거래가 것입니다.


이러한 신뢰를 바탕으로 Debt Note 금액의 구매는 채무자가 누구이면 어떤 마켓에서 진행이 되는가에 따라 크게 달라질 있습니다. Debt Note 만큼의 자본을 충분히 움직이는 신용도 높은 은행이라면 구매자가 Discount Debt Note 구매 하는데 주저함이 없겠지만, 그렇지 않은 은행의 경우는 전혀 다른 문제일 것이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Debt Note 전세계의 금융거래시장에 하루에도 없이 쏟아져 나오고 있습니다.


4. Bank Instrument 마켓과 PPP 같이 국제은행은 다양한 형태의 Bank Instruments 트레이딩을 특화된 시장을 중심으로 최종구매자와 차례 거래함으로 이익 창출하거나 순수하게 자기자본을 강화하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은행의 이와 같은부외거래활동(Off-Balance Sheet Activities)” 은행에 거대한 수익을 가져다 주며 이를 자금의 회전 이윤창출에 적극적으로 활용을 합니다.

그러나 은행이 자체적인 자본으로 이러한 트레이딩을 직접적으로 운용하는 것은 국제법적으로 허용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은행과 연결되어 거래를 있는 분야의 전문 트레이더가 거래의 컨텐츠를 프로그램화 하고, 여기에 개인 또는 법인 투자가의 자금이 조달되어 일정한 싸이클의 정규 프로그램이 시작되며 이를 PPP라고 합니다.


5. Trader 역할 PPP거래의 핵심을 차지하는 트레이더는 은행과 고객, 매수/매도 프로그램을 통한 End-Buyer 확보 전체적인 진행에서 가장 요한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국제은행이 직접적인 PPP거래에 참여할 없는 대신 Trader 통해 투자자금을 확보하고 Trading Market 진입하며, 그들이 설계하는 PPP마켓의 규모와 정확도에 따라 다양한 모습의 수익률이 나타납니다.


6. 절차와 수익의 배분 통상적인 트레이딩의 절차와 수익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투자자로부터 자금을 확보하여 거래은행에 예치가 완료 경우, PPP 진행하는 트레이더는 투자자의 원금을 기준으로 1:10비율의 Line of Credit 거래은행으로부터 공급받을 수가 있는데, 이를 레버리지라고 합니다.

은행은 트레이더에게 레버리지를 제공함으로부터 나오는 커미션, 이자수익 등으로 이윤을 만들게 되는데, 트레이더가 확보한 원금과 거래시장에 대한 능력여하, 신용 등에 대한 판단에 따라 최대 20배까지 레버리지를 공급함으로 수익을 가져갈 있게 됩니다. 트레이더는 이렇게 확보한 자금으로 액면가보다 낮게 나온 Debt Note들을 구매하여 타은행, 보험회사, 장기투자를 위한 개인투자그룹 등의 최종구매자에게 차례에 걸쳐 단기매매를 하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높은 마진이 형성이 됩니다.

이와 같은 과정을 Long Term Program 일년 단위의 40 계약 프로그램, 또는 Short Term Program 1개월, 40, 또는 개월 단위의 계약 프로그램등으로 나누고 매일마다 반복 진행을 합니다. 그리고 이익이 발생한 투자자와 일정비율로 매주, 격주, 또는 한달 단위 등으로 지급시기를 정하여 분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수익은 일주일 또는 한달 단위로 원금의 100% 또는 이상까지 가능합니다.


[] 투자자의 원금 트레이딩에 투여되는 자금이 10M이라고 하면 트레이더가 은행은행부터 움직일 있는 자금은 실제로 100M 된다 (1:10 Leverage 경우). 트레이더가 자금으로 End-Buyer에게 매수/매매를 5% 이윤으로 1주일에 1차례씩 4주에 4차례를 진행한다고 가정하면, 한달 동안 4ⅹ5%=20%, 원금 대비로 200% 이윤이 월마다 만들어지게 된다.


이를 가지고 트레이더와 투자자 은행이 적정이윤을 분배한다고 하더라도 투자자에게는 적어도 자릿수(원금의 수배) 수익을 가져가 된다. 이것을 40 프로그램으로 기획하여 진행하게 되면 결과적으로 원금의 수십 배에 이르는 총액이 만들어 수가 있다.

여기서 보여주는 예는 가장 낙관적인 트레이딩의 경우를 것으로, 실제로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적극적인 트레이딩을 진행하는 마켓 에서는 일주일에 3~4건의 트레이딩이 일어나게 되며, 이러한 전체적인 프로그램을 통해 PPP 관련한 모든 참여자들이 결국에는 막대 이윤의 혜택을 받게 된다.


투자자의 초기자본은 트레이딩이 일어나는 마켓의 성격에 따라 용도가 달라지는데, 자체적으로 충분한 자본을 가지고 있지 않은 은행 이나 트레이드그룹과 일하게 경우 투자자의 자본이 직접적으로 활용되어 수익을 만들고 이익금에서 투자자와 트레이더가 분배하는 마켓으로 진입 것이고, 자체적으로 충분한 트레이딩 자본력이 있는 트레이더와 일을 경우 투자자의 자본을 단지 트레이딩을 위한 기초자금으로 삼고 자산증식의 방법으로 운영한 다음 자신들의 자본을 더하여 거대이익을 창출한 이윤을 분배하는 보다 안정적인 마켓으로 업그레이드 되어 진입하게 것이다.


[주의원금을 전혀 사용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가끔 받는 질문 중에 PPP 대한 중대한 오해를 한가지 들자면, 원금의 활용에 대한 부분이다. 아직은 PPP시장에 대해 미숙한 정보를 다루는 몇몇 인터넷 카페나 회사들이 보편적으로 이야기하는 PPP 대한 내용은, ‘원금은 은행에 예금만 하고 사용하지 않는 .’라는 원더풀한 내용이고, 이것이 PPP라는 사업을 미스터리한 고수익의 사업으로 만들고 있다. 이러한 정보들이 PPP시장에 대해 얼마나 부정적인 인상을 주게 되고, 정당한 금융활동(투자) 하는 투자가들을 시장에서 외면하게 만드는지 모른다.


모든 투자에는 책임과 결과가 따른다는 기본 상식이 있다. PPP 세계도 예외는 아니며, 100억을 넘나드는 투자범위의 고수익 사업으로서도 당연한 일이다. 원금을 은행에 예금을 하게 되면 예금을 담보로 레버리지를 은행이 일으키기 때문에 원금은 당연히 구좌에서 움직이지 않지만, 트레이더가 레버리지를 활용하여 트레이딩을 하도록 계약을 상황에서는 투자자와 은행, 그리고 트레이더가 공통 적으로 원금과 활용에 대한 책임을 공동으로 지게 되어있다.


오랜 역사를 지닌 트레이더와 함께 트레이딩 마켓을 진입하는 경우엔 대부분 거의 안정적인 수익이 보장되기 때문에 원금의 손실에 대한 위험이 적지만, 이러한 자금이 트레이딩에 익숙하지 않은 트레이더나 불안정한 오픈 마켓에 진입을 하는 경우엔 전혀 다른 이야기가 되고 만다.

그러나 실제로원금은 은행에 예금만 하고 사용하지 않는다.’라고 말하는 마켓도 존재한다. 그대로 은행에 예치한 원금은 전혀 건드리지 않고 트레이더의 확보된 마켓과 자체적인 자금활용의 역량에 따라 투자자의 원금이 기본 크레이딩에 참여하는 형식으로 계약이 되는 경우다. 이러한 경우는 전체 PPP시장에서 극히 드문 경우로, 트레이더그룹의 자본력이 투자자의 투자원금을 뛰어넘거나, 트레이더 Support하는 파트너그룹이 그러한 경우로 투자자의 원금이 그대로 사용하지 않는 케이스가 만들어 진다.


당연히 이들의 자본력이 함께 투자자의 원금과 함께 투여가 되는 경우, 투자자의 원금이 안정적인 대신 수익의 분배는 필수적으로 줄어들 되어있다. 그러나 원금보장의 측면에서는 원금의 수십 배에 해당하는 수익을 반으로 나눈다고 해서 그것을 마다할 투자가는 없을 것이 . 그러나 이러한 방식이 모든 PPP 기본은 아니며, 어떠한 PPP 사실이 옵션으로 악용되어서도 안될 것이다.


7. Open Market Private Placement Market 

앞에서 투자자의 자금에 대해 가지 용도로 설명을 하였듯이, 일반적으로 PPP트레이더가 프로그래밍하는 트레이딩 마켓은 크게 종류로 나뉜다.


첫째는,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오픈 마켓으로, 이곳에서는 경매에서처럼 입찰을 통하여 디스카운트된 Bank Instruments 거래할 있어 누구나 참여가 가능한 마켓을 말한다. 일반적인 트레이드의 대상은 Bank Instruments 외에도, 외환거래나 선물거래 등을 대상으로 하기도 한다. 이러한 마켓은 경매의 성격을 띠는 Open Price 마켓이므로 참여를 하는 트레이더의 직접적인 자본확보가 상당히 중요하고 디스카운트된 우량한 Bank Instruments 구입을 위해 빠른 자본의 투자를 요구하므로 투자금의 액수와 트레이더에게 부여한 투자금의 컨트롤 자격에 따라 다양한 수익에 대한 결과를 얻을 있습니다.


둘째는, 공개형 마켓으로 이곳에서는 오랜 기간에 걸쳐 안정된 사업을 진행해온 그룹들(Master commitment holder, Inner Bank Circle) 주축으로 지정된 시간 안에 정해진 가격, 정해진 시장의 환경 내에서 Bank Instruments 사고파는 Private마켓인데, 이것이 PPP 주거래 시장입니다.

거래는 바이어와 셀러가 사전에 결정이 되어 철저한 스케쥴에 따라 진행이 되고 거래가격 또한 사전에 정해져 있습니다. 때문에 실제자본의 투자가 없는 재정거래(Arbitrage Transaction) 가능하며, 이로 인해 통상 고정적인 고수익이 발생 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투자자의 자금이 실제적으로 활용이 되지 않고 기본 증거금을 통한 레버리지로만 거래가 이루어지므로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자신의 투자금도 보호 있고 고수익도 분배 받을 있는 안전한 수익원이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투자자를 상대하는 트레이더가 투자자의 자금에 대한 Full Authority(절대권리) 직접적인 자금의 컨트롤을 요구한다고 한다면 Open Market 주로 진행하는 소규모 트레이더일 확률이 높으며, 투자자의 자금을 직접적으로 활용을 하기 때문에 투자금의 손실 리스크도 배제할 없다.


그러나 투자자의 자금에 대한 컨트롤을 요하지 않고 단순히 국제은행에 트레이더의 레버리지를 위한 증거금으로 자금의 예치를 요할 경우는 트레이더가 Private Market 상대로 안정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경우라 있다. 이러한 경우는 원금에 대한 안정적인 보장도 계약적으로 가능 아니라 언제든지 예치된 자금을 회수 있는 자유로운 환경을 제공받기 때문에 투자자로서는 안전한 투자를 결정할 수가 있다.


8. 투자자의 역할투자가 아닌 PPP platform 참여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반적인 사업에서는 투자자라 하면 투자가 진행되는 사업에 대해 주관적인 입장을 가지거나 사업의 헤게모니를 가진 주체가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일반적인 PPP 경우에서 투자자라 함은 PPP거래라는 전체 드라마에서 도입부의 훌륭한 역할을 담당하는 Actor중의 구성원이라고 있다.


PPP 투자자가 투자를 하는 시점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매해 매달마다 국제은행과 트레이더그룹, 그리고 디스카운트된 Bank Instruments 매매/매수를 하는 거대자본그룹들이 오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거래를 진행하고 있는 거래시장(On-going Market) 적절한 타이밍으로 자금을 가지고 참여를 함으로 트레이더와의 관계를 시작하게 됩니다.


PPP 투자자는 투자자의 증거금을 받아 10~20배의 레버리지를 제공하는 은행과 트레이딩을 진행하는 트레이더, 그리고 결정적로 Bank Instruments 장기적인 안목으로 매수하는 End-Buyer 자본가들이 이들의 역할을 다하여 반복 매매/매수가 거대한 수익으로 연결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PPP 마켓은 투자자를 찾아나서는 Buyer마켓이 아니라 투자자가 안정된 트레이딩에 참여하는 Seller마켓으로 규정할 있다. PPP 참여하는 투자자는 은행의 레버리지를 일으키기 위한 목적으로 역할을 하는 것이며, 댓가로 전체 이익금의 정당한 부분을 트레이더로부터 배당을 받습니다.

여기에서 End-Buyer?

Exit Buyer라고도 하며, 금융투자그룹, Trusts, 보험회사 등입니다. 투자자는 보통 이들을 직접적으로 상대할 없으며, 거래은행과 트레이더, 브로커를 제외하고는 실제적인 End- Buyer그룹이 누구인지, 어떤 방식으로 거래가 진행이 되는지를 확인할 있는 권한이나 방법이 없습니다.


9. 투자의 방식과 거래단위 PPP 투자하는 방법은 

  1. 트레이더와 계약된 PPP프랫폼회사를 통해 트레이더가 지정하는 국제은행에 현금을 예금해 주고 참여를 하는 방식과
  2. 신용도 높은 은행이 보장하는 Bank Instruments 골드보관증서 혹은 기타 채권 등을 빌려주고 일정 이득을 미리 받은 약정 기간 빌려준 Bank Instruments 돌려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가지의 방식은 일반적으로 트레이더의 프로그램에 따라 어느쪽으로 진행을 있는지의 여부가 결정이 됩니다.


국제은행은 Bank Instruments 자금거래의 단위를 최소 $100 Million ~ $500 Million부터 시작하여 $1Billion 또는 이상의 단위로 정해놓고 있다.


10. PPP거래의 시작 

여기서는 오픈마켓을 통한 투자가 아닌 정상적인 Closed마켓 진입의 경우와 현금자산 투자의 경우를 토대로 설명 하겠습니다.

일반적으로 정상적인 플랫폼회사와의 만남과 협의를 통해 PPP시장으로의 진입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면, 투자자의 역할과 입장으로는 프로그램의 소개와 절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만으로도 진입할 있는 비교적 단순한 투자방법을 거치게 됩니다. 모든 복잡한 투자기법이나 절차는 전문 트레이더들이 담당하고, 투자자는 계약에 따라 신규 구좌은행을 선정 하여 Private Placement 위한 은행간의 업무에 필요한 자금을 예금 , 계약기간 동안 정교하게 프로그램화 시장과 정해진 절차로 인해 일정하게 설계된 고수익을 트레이더와 투자자가 배분하는 방식으로 진행이 됩니다.


[신규계좌 오픈 > 계약 > 국제 금융 트레이딩 > 이윤 > 배분]


투자금은 주로 트레이더와 마켓을 공유하는 공신력이 높은 홍콩, 또는 유럽의 국제은행에 예금되며, 투자자의 명의로 계좌를 개설합니다. 원금이 실제적인 담보로 들어가지 않는것을 원칙으로 하나, 때로는 프로그램의 난이도와 계약의 종류 또한 하이인컴의 정도에 따라 원금이 트레이딩의 담보로 설정이 되어 원금손실의 리스크를 감수해야 하는 계약도 있을수 있습니다.


11. PPP수입금의 활용 

성공적인 PPP로의 진입은 개인 또는 기업적으로 , 일반적인 상업활동으로는 비교도 할수 없을 정도의 수익차로 돌아오는 측면에 서는 선택받은 행운아라고 수가 있습니다. 이러한 PPP 인해 조성된 자금은 골드거래에서의 막대한 중개수수료 혹은 Currency Exchange 중계수수료는 비교도 되지 못할 만큼의 금액이기 때문에 조건부 국제 거래조항이 반드시 따르야 합니다


PPP거래를 통해 만들어진 자금을 공익사업이나 기부를 위해 수익금의 일부를 사용해야 한다는 국제적인 협약의 명목이 바로 그것으로, 주로 수익그룹이 Foundation 형성하고 이를 통해 만들어진 재단은 기부금을 Humanitarian Project(인도주의 지원 프로젝트) 천재지변이나 전쟁을 겪어 국가의 기본적인 산업시설 재건이 필요한 나라들의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사업에 Project Founding방식으로 투여 합니다.


12. Secured Private Placement Program(SPPP) 대하여 - Bank ‘Secured’ Private Placement Program

SPPP 표면적인 자금의 유입과 사업적인 구조에 차이가 없어보이나 내부적으로는 트레이더가 보유한 금융기관의 순수하고 자체적인 자금능력에 의해 진행되는 프로그램으로, 투자자와 은행은 초기자금의 도입 역할만 담당하고, 실제 트레이딩 자금의 유입 레버리지의 발생, 트레이딩마켓의 확보, 매매/매수 전체적인 수익과 관련한 총괄적인 역할은 트레이더 그룹이 맡아 진행을 합니다. 따라서 SPPP 진행하는 트레이더그룹과의 계약이 이루어 질경우, 원금에 대한 100% 보장은 물론이고 고수익에 대한 확실성까지 보장 받을 있는 현존하는 최고의 PPP Program입니다.

1) 투자자는 SPPP 계약이후트레이더가 지정하는 국제은행 자신의 명의로 일반 예금구좌에 투자금을 예금하는 만으로 역할이 끝납니다.


[지정국제 은행이란? 주로 World Top 10 해당하는 은행들로 SPPP사업에 직접적인 레버리지 투자를 하지않고 SPPP 고객의 자금을 안전하게 관리해 주는 역할과 트레이더에게 근거를 제시만 주는 역할을 한다.]


[일반 예금구좌의 의미: 일반 은행예금. 고객의 입장에서는 은행에 예금을 예치하는 이외에는 어떠한 법적인 책임이나 자금에 대한 활용이 없다. 은행은 일반예금으로 예치가 금액에 대해 임의적인 활용을 없을 아니라, 예금된 금액에 대한 절대적인 보호의 법적 책임이 있다.]


2) 국제은행은 트레이더와의 계약관계에 의하여 고객의 원금을 레버리지를 위한 증거금으로 처리하지 않고 고객 명의의 “Administrative Hold”절차를 거친 트레이더의 금융기관이 자체적인 자금으로 레버리지를 일으킬 있도록 하는 Bank Credit 제공해 준다. 이것으로 트레이더는 자신의 금융기관을 통해 원하는 만큼의 레버리지를 일으키고 자신만의 Private Market 자금을 투자하여 더욱 안정적인 하이인컴을 만들어 낸다.


[Administrative Hold : 고객이 자신의 구좌에 대해 자신이 직접 일정기간 동안 동결을 시키는 절차로 자신의 자금이 일정기간 동안 SPPP 참여할 목적으로 예금됨을 은행에 제시를하는 근거가 된다.]


[트레이더의 금융기관 : 국제적으로 신뢰를 있는 트레이더와 연합하여 자금을 공급하여 주고 이익금을 함께 소유하는 금융 그룹. 국제은행이 참여할 수도 있고 비영리그룹의 자금이 투자되기도 한다. 이러한 거래에 참여하는 금융기관의 경우 트레이더의 거래시장에 대하여 직간접적인 연관이 있거나 오랜 기간의 신뢰관계로 인한 수익창출의 확신이 뒷받침이 되어있습니다.]


결과적으로 SPPP 진입을 하는 투자자나 국제은행은 단순한 예금업무로 인한 책임만으로도 국제적인 PPP마켓이 참여를 하는 결과가 되고, 원금의 손실이나 책임에 대한 의무가 없이도 수익배분에 참여 있다.


투자원금의 안전성을 뒷받침할 있는 하나의 일례로, 투자자가 트레이더와 SPPP계약을 시에, 계약서에 투자자의 의견을 충분히 수령하여 투자자가 원하는 원금안전에 대한 계약조정이 가능하도록 있습니다. PPP 경우 계약서가 트레이더에 의해 작성되고 투자자의 입장에서는 계약조건에 관하여 협의할 여지가 없이 조건에 대한 선택의 여부만 주어 지는 것이 상식이다. 이는 PPP거래의 특수한 성격상, 트레이더를 중심으로 권리와 활동영역을 존중하는 것이 시장의 불문율이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SPPP 경우엔 어차피 투자자의 원금은 증거금일뿐 실거래에 전혀 투입이 되지 않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금보장에 대한 투자자의 어떠한 요구든 수용하는것에 문제가 없습니다. 트레이더의 방대하고 오랜 역사가 뒷받침이 경우, 투자자의 원금이 어떤 경우에든 안전하게 거래될 있는 노우하우와 구체적인 방법을 가지고 있고, 이를 법적계약으로 보장을 있습니다.


PPP프로그램이 트레이더의 규모에 따라 $100M~$500M 또는 $1Billion 이상부터 시작하는 시장을 제공하는 반면, SPPP 금액의 1/10 US $10M부터 최고 $500 Billion, 또는 이상의 방대한 범위에 이르기까지 계약이 가능하며, 수익률 또한 정상적인 거래의 표준을 그대로 따릅니다. 통상 US $10M 으로 PPP 진입을 하는 경우는 일반 Open Market이나 소규모의 Short term Market 진입하는 것이 정상이나, SPPP 경우, 오랜 역사를 통한 방대한 거래범위 소액거래가 가능한 안정적인 시장의 확보가 충분히 되어있기에 정규프로그램의 진행이가능하다. US $10M 단위의 진입은 거래마켓의 진입시기가 중요하기 때문에 트레이더와의 충분한 상의 후에 시작할 있습니다.


[Short Term Market 단기거래시장 : 40주의 장기프로그램이 아닌 1 또는 40 이하의 단기 매수/매매 프로그램 PPP 시장에서 자주 등장하는 거래로 수익률은 기존의 PPP보다 낮으나 신속한 자금회전이 용이하고 처음 시장에 진입하는 투자자에게 좋은 기회가 있습니다.]


SPPP수익의 분배는 투자자와 트레이더간에 이루어 지는데, 전체거래에 대한 실제 자금의 투자가 트레이더의 자체금융 기관에서 만들어 지는것이기 때문에 초기 투자자에게는 일반 PPP보다 낮은 % 이익금이 배당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사실상 SPPP 거래시장이 PPP보다 크고 안정적인 Closed Market에서 진행이 되고 수익률 또한 어떠한 PPP보다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익이 발생됨으로 오히려 수익률이 뛰어날 있으며, 아울러 투자원금에 대한 No Risk Factor까지 감안하면 월등히 좋은 조건입니다.


원금보장과 소액투자를 통한 SPPP 진입에는 트레이더의 역사와 자체적인 막대한 자본의 확보, 국제은행의 신뢰, 사전에 약속된 마켓의 존재여부가 가장 관건이 되는 중요한 사안입니다. 따라서 세계적으로 SPPP 구사할 있는 탁월한 트레이더그룹은 극히 소수이며, 그들이 정규 프로그램에 참여할 있는 기회조차 사실상 희박하다 있습니다. 그러나 그들의탁월한 능력으로 진행이 되는 마켓에 참여가 되면, 투자자로서 가장 성공적인 이윤의 창출을 이루어 있는 확실한 좋은 기회가 것은 의심 여지가 없습니다.


13. SPPP 진행

 신규계좌 Open에서 계약까지 지금부터 소개하는 SPPP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은 SPPP 예를 기본으로 정상적인 Private마켓진입의 경우와 현금자산 투자의 경우를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1) 상담 신청 SPPP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되면, 먼저 SPPP전문 플랫폼회사와 함께 참여 하고자 하는 SPPP 일정과 금액 등을 상세히 상의한 , 투자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자금의 성격 등을 조사하는 신청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에 대해 트레이더가 적합성을 확인하는 절차가 있게 되고, 신청서가 받아들여졌을 경우 트레이더와 투자자가 함께 직접면담, 전화, 또는 Fax 수단으로 프로그램의 진행과 계약을 위한 상의에 들어갑니다. 신청서가 받아들여 지지 않을 경우엔 플랫폼회사를 통하여 정중한 거절의 이유와 해결방안 등이 보내어 집니다.

트래이더와의 상담시에는 프로그램의 Terms & Condition(기본거래조건), Guaratees, 계약의 상세한 사항, 그리고 프로그램을 시작하기 위한 다음 단계의 절차 등에 대해 상세한 논의를 하게 됩니다.


2) 예금 계좌의 오픈 모든 신청과정이 통과가 되면, SPPP 전문 트레이더그룹과 업무적인 협약 맺고 있는 유럽 홍콩의 대형 국제은행들 예치가 유리한 곳을 선택하여 투자자의 일반 예금계좌를 개설합니다. 계좌의 개설과 관련한 상세한 사항은 플랫폼회사로부터 자세히 컨설팅을 받을 것이며, 계좌를 개설하게 되면 자동적으로 고객과 은행과 트레이더간의 사업관계가 성립이 되어 본격적인 SPPP 들어갈 있는 준비가 완료된 상태입니다.

이때에 투자자의 명의로 예금이 계좌는 투자자 자신이 40주의 기간동안 자금의 유동이 없을 것임을 증명하는 “Administrative Hold” 은행에 신청하여야 하며, 그로 인해 프로그램의 참여 준비가 완료됩니다.


3) 계약서의 작성 모든 계약은 양사 전문변호사간의 충분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만들어지게 됩니다. 계좌가 만들어지고 목표자금이 예금이 되고 나면 곧이어 투자자와 전문 트레이드그룹과의 계약서 “MPPA(Master Private Placement Agreement)” 작성합니다.

MPPA 자금의 예치, 원금의 안정성 보장, 관리, 이윤의 스케쥴, 투자자, 트레이드그룹, 그리고 플랫폼회사의 이윤 분배에 이르기까지 전반적인 사업에 대해 상호규정을 하는 계약서이다. MPPA 효력이 발생이 되는 기간 동안 투자자의 자금은 투자가 아닌 일반계좌 예금이 되므로 본인의 동의가 없이 자금에 대한 이체, 양도, 할당, Business Transaction 위한 직접적인 담보 행위가 없을 것이며, 국제 은행에 프로그램의 기간 동안 안전하게 예치되어야 합니다.


4) 거래의 시작 MPPA계약서의 서명 트레이더가 규정한 스케쥴에 따라 거래가 시작이 됩니다. 국제은행은 은행법에 따라 트레이더에게 원금에 대한 Bank Credit 부여하고, 이에 트레이더의 자체은행이 원금의 10~20배에 달하는 레버리지를 일으켜 금액으로 국제금융증서의 거래를 시작합니다.

SPPP 전문 트레이드그룹의 경우 오랫동안 진행해온 자신의 Private Market에서 지속적인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분야의 투자기법에 매우 정통해 있습니다. 세계의 산업활동에 대한 깊은 정보분석과 투자상품에 대한 연중기획을 만들어 내고, 정교히 짜여진 Closed Market 트래이딩 스케쥴에 따라 안정적이고도 확실한 투자를 진행하여 안정적인 이윤을 만들어 내게 되어져 있습니다.


5) 이윤의 지급 분배에 대해 모든 이윤은 MPPA에서 기본적으로 규정하는 계약기간동안 생성된 인컴을 MPPA 조건에 따라 계약자의 계좌, 또는 계약자가 원하는 전세계의 어떠한 계좌든 매주, 또는 격주마다 적정이윤을 적립하게 됩니다.

MPPA 조건에 따른 분배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격주마다 생성되는 수익금의 일정부분(:15~30%) MPPA 규정에 따라 계약서에 명시된 국제비영리기관 종교단체, 국제구호기관 등에 자선기금으로 기부가 되거나 정부 민간 프로 젝트의 프로젝트펀드로 활용이 됩니다. 나머지의 이익금 예금 투자자와 플랫폼회사 트레이더, 주관사, 중계인 사업의 수익을 발생시키는데 관련된 모든 관련인들에게 순수익이 지급되어 본프로그램과 관련한 모든 업무에 대해 종합적으로 정산처리 됩니다.


수익의 분배에 대한 % 케이스마다 다르며, 프로그램의 종류, 금액, 기간, 수익률에 따라 Case by Case 조정이 되는데, 보통예금 투자자 vs 플랫폼회사 트레이드그룹을 통틀어 50 50 이윤을 적정 배분율로 합니다. 예금주의 요구에 따라 자금과 관련한 일체의 흐름 정보에 대하여는 철저하게 비밀유지가 보장됩니다.


14. PPP 수익률에 대하여, 그리고 주의할 점은 지금까지 PPP 대한 설명을 오다 보니 많은 사람들이 투자자금에 대비해서 어느 정도의 수익이 만들어 지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답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지금부터 설명하는 투자 단위와 수익률에 대한 예는 가장 일반적인 경우의 예로, PPP 진행하는 Trader들의 Performance 통상적으로 보았을 기대할 있는 수치이다. 투자자금의 최대 가능 수익에서 실제로 투자자가 가져가는 몫은 Trader와의 계약 컨디션 따라 조절이 되고, Trader 제시하는 비영리재단에의 기부 % 가산이 되는 것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


1) 1 Million Dollar 자금의 단위는 정상적인 PPP에서는 허용되지 않는 단위이나, 때에 따라 1 Day Bullet Program, Proof of Funds프로그램, 또는 일주일 단위의 Short Term Special프로그램에서 기대할 있는 투자 단위입니다. 짧은 기간의 투자인 만큼 높은 레버리지를 위한 담보로 투자자금이 전액 제공되기 때문에 손실에 대한 확률이 높으며, 성공에 대한 기대치도 낮다.

투자자금의 최대 가능 수익: 10~20% Per month


2) 10Million Dollar 투자 단위의 PPP 심심치 않게 마켓에 등장하는 것을 수가 있으나, 실제로 단위를 가지고 성공적인 Profit 만들어 있는가는 Trader 재량에 좌우됩니다. 주로 오픈 트레이딩 마켓에 투자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상당히 정교하게 짜여진 프로그램이 진행 되는 과정에 참여형식으로 자금이 투입이 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 투자자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돌아오는 수익은 크게 기대 없습니다. 10M이라는 자금을 가지고 독자적인 PPP 구사하는 경우는 빈번하지 않으며, 통상 1개의 Bank Instrument 기본 금액이 100M이고, 이를 Discount가격으로 구매하기 위한 금액이 적어도 65M 것을 감안하면, 10M 용도가 PPP 트레이더로부터 어떻게 쓰일지는 투명하지가 않고 매건마다 case by case 활용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투자자금의 최대 가능 수익: 5~10% Per month


3) 50 Million Dollar 자금의 레벨은 PPP Trader들의 자체적인 능력과 마켓에 따라 자금의 투입에 대한 결정이 수가 있는데, 보통 자신들이 진행하는 기존의 프로그램에 참여를 시키거나, 자체적인 자금의 능력이 있는 Trader들은 기본 100M PPP 대한 Matching Fund 형식으로 자금에 대한 계약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PPP 대한 참여와 수익에 대한 개런티는 Trader 입장으로 정하는 경우가 많으며, 50M 투자용도가 어떠한 계약의 조건과 마켓으로 가느냐에 따라 수익률에 대한 수위가 달라 있습니다.

투자자금의 최대 가능 수익: 10~20% Per month


4) 100M and UP 100M 정상적인 PPP 기본 자금으로, 제대로 계약에 의한 PPP 참여를 있다. 100M 기준으로 레버리지를 일으킨 자금으로 Bank Instrument 사고 파는데, 통상 거래 4~5 포인트, 또는 7~15 포인트의 스프레드( 65% Face value / 72% Selling) Bank Instrument 매매한다. 100M 또는 때에 따라 1 Billion에서 100Billion 자금까지 커버가 되는 PPP 다른 자금의 참여가 없이 Sole Account Trader 충분한 능력을 발휘하여 40 동안 진행되기 때문에 이윤에 대한 개런티도 높습니다.

투자자금의 최대 가능 수익: 20~40% Per month


성공적인 PPP 위한 실전 10단계

지금부터 PPP 대한 실전을 이야기 보고자 한다. PPP 대한 자세한 프로세스를 이야기 하는 것은 그리 간단하지가 않으나 경험에 기초한 개괄적인 설명인 만큼 충분한 이해가 가능하리라 본다.


오늘날의 많은 브로커들이 PPP 마케팅하고 있지만, 문제는 99.9% 사람들이 건의 성공케이스조차 없기 때문에 프로세스에 대한 자세한 세부사상을 수가 없고, 여기저기서 모은 상식으로 Client 상대하다 보니 이들로부터 지식을 쌓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PPP 이해 밖에 없다.


준비과정 - Client 자금에 대한 기본준비 PPP 진입을 가기 위해서는 당연히 Client 자금이 먼저 준비가 되어야 한다. PPP에서의 자금의 준비란 단순히 돈을 마련하는 차원이 아니라, 실제로 어떤 단위의 자금을 가지고 있는지, 투자하고자 하는 자금의 종류는 무엇인지, 자금의 주체는 누구인지, 어느 나라의 은행에 있는지, 담보설정이나 다른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자금은 아닌지 , 자금의 성격과 Ownership 대한 자세한 정보가 사전에 파악이 PPP 자금이 준비되어야 성공적인 PPP사업을 위한 시간과 노력을 절약할 수가 있다.


또한 투자자금이 트래이더가 지정한 일정국가의 국제은행에 예금이 되기에 문제가 없는지도 알아봐야 것이며, 투자자의 입장에서도 자신이 노력을 하여 예금한 자금이 PPP 올바르게 진입이 가능한지에 대한 사전 점검을 하여야 것이다. 때문에 트래이더에 대한 정보파악도 중요하며, 어떠한 마켓에 어떠한 종류의 PPP 진입이 가능한지도 브로커, 또는 플랫폼회사와 충분히 상의하여 이해를 하고 있어야 것이다.


이러한 모든 과정을 중간에서 진행을 하는 브로커와 플랫폼회사가 투자자와 충분히 협의하여 양쪽이 공동으로 만족하는 여건을 이끌어 내야 한다. 이러한 모든 여건들이 충족되게 되면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주의사항] 준비과정은 실전으로 넘어가기 전의 단계로, 과정 중에는 어떠한 계약도 필요 없으며, 플랫폼회사나 투자자 양쪽이 충분한 대화를 통해 만족할만한 상황의 이해를 이끌어 내기 위한 단계일 뿐이다. 대부분의 브로커들은 이러한 과정을 거치기도 전에 Client에게 실전에 들어가기 위한 각종 서류를 요구하거나, 자금에 대한 Proof of Fund, 심지어는 브로커와 투자자의 계약서를 요구하고 일을 만들기 위한 명목의 컨설팅비용이나 이윤의 계약까지 요구하는 경우가 있으니 주의를 요한다.


과정에서는 일반적으로 “Know Your Client”(Client Information Sheet)라는 Application 쓰게 되는데, 내용은 플랫폼회사가 PPP 진입을 하고자 하는 회사, 또는 개인의 기본적인 정보와 투자자금과 관련한 은행의 Reference 위한 정도의 기본 사항이 기재가 된다.


실전과정 

(1) Client Proof of Funds Passport사본, 그리고 PPP 요청자료를 보냄 번째 단계에 진입하기 전에 자신이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의 내용이 무엇인지 냉철히 알아야 한다. 한가지 영원히 바뀌지 않을 PPP 진실을 이야기 하자면, Real PPP마켓에서 선호하는 것은 오직 Cash 밖에 없다.

흔히 브로커들을 통해 PPP 소개 받을 때에 다양한 Bank Instrument PPP 활용할 있다고 소개를 받는 케이스가 많은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아무런 결과를 내지도 못할 노력과 시간을 낭비하는 경우가 실제로 많이 일어난다.


[ ] PPP 진입할 없는 것들: ITR’s(Irrevocable Trust Receipt) SKR’s(Safe Keeping Receipt), T Strips(Treasure Strips), BG, MTN, Junk Bonds, Asset Backed Bonds(자산유동화본드), Hard Assets, Real Estate, 위의 BI Instrument 브로커가 접근하면 사기 확률 99% .


(2) Trade Group Application 대한 Review 트레이드그룹이나 플랫폼회사를 통해 본격적인 Review 들어가게 되면 보통 시간 이내에 투자자금과 자금의 주인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있다. 더불어, 범죄에 대한 기록이나 자금의 출처에 대한 자세한 그라운드까지도 확인이 되어 안전하고 깨끗한 상태로 PPP 진입을 있는지 등의 여부를 가려낸다.

100M 이상의 투자자일 경우, 트레이드그룹과 만나 PPP 대한 직접적인 상담을 시작하는 것도 이때에 이루어진다.


(3) Client Application 대한 실사를 마치고 Trader 상담 계약서 작성 과정은 Client Trader간에 관계인 만큼, Client로서도 PPP 대한 충분한 지식과 과정을 이해하고 Trader 상대해야 한다. 말은 상당히 중요한 것으로, PPP에서 진행되는 전체 과정은 일반적인 Debt Note 거래마켓과 달라서, Trader들에 대한 전격적인 신뢰와 이들이 제공하는 원금의 안전에 대한 부분까지 Client 직접적으로 이해하고 계약서를 작성할 있어야 한다. 많은 사람들 PPP라는 것을 실제로 경험해 보지 못했기 때문에 저지르는 실수중의 한가지는 Trader 제시하는 계약서를 또한 분야에 아무 경험이 없는 변호사에게 맡겨 입장의 계약서로 수정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는 PPP Trader 통한 거래에 대해 마켓의 생리 이해 못하는 행위로, Client 유리한 일반적인 상황을 이끌어 내기 위한 변호사의 생각이 우선적으로 작용을 하는 시점부터 PPP 대한 계약서는 무용지물로 끝날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다시 말해 Client 계약서를 변호사를 통해 점검할 시에는 Trader 입장과 Client 입장을 사전에 이해하여 PPP 올바르게 진입을 하기에 도움이 되는 계약서를 공동의 이해로 만들어 내야 한다.


시점에서 Client 알아야 것은 Trader 통한 PPP계약에 의한 시작 아니라기존마켓의 참여 통한 진입이란 것이다.

다시 말해 투자자의 자금이 투자가 됨으로 새로운 PPP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Trader들이 꾸준히 진행을 하고 있는 시장에 적당한 시점에 필요한 자금을 가지고 참여를 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트레이더와의 계약서는 Client 입장에서 원하는 모든 것을 포함할 없고 Trader 중심의 가장 일반적인 계약 조건들이 우선이 된다는 사실이다.


트레이더에 따라 다르겠지만, 의외로 PPP 계약서는 그리 복잡하지가 않고, 계약에 언급되는 주된 포인트는 주로 계약에 대한 기간과 Trade 통한 이윤지급의 방식, 수혜자의 정보, 은행에 예금된 원금의 변동 원칙, 해지조건 일반적인 내용의 계약서가 작성이 된다. 알아둘 것은, 원금의 보장에 대한 계약은 Trader 하지 않으며, 그것은 원금이 은행에 예금이 되었을 시에 은행의 시스템에 해당하는 문제이므로 Client 금융에 대한 사전이해를 요하는 것으로 정리한다. 그러나 PPP 종류에 따라 원금에 대한 보장을 보장하는 것도 있는데(: SPPP- Secured Private Placement Program, PPD- Private Placement Deposit) 이에 대한 계약을 주도할 있는 트레이드그룹은 그리 많지가 않아서 이러한 트레이더와 작업을 있는 Client 매우 운이 좋은 케이스라 있다.


(4) Client 서명을 하고 Trader 서명을 하여 Official 계약에 따른 충족조건을 이행한다.

Client Trader 계약서에 서명을 하고 나면, Client 계약의 조건에 따라 투자자금을 트레이더가 지정하는 은행에 보내어 트레이딩에 들어갈 있도록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만일 계약 이후에 불가피한 사정으로 조건이 이행이 되지 않을 경우엔, Client 뿐만이 아니라 그와 관련된 모든 기관까지 영원히 PPP 시장에서 고립이 수가 있으니 매우 주의해야 한다.


한번의 계약 불이행이라 하더라도 마켓에서 영구히 제외 대상이 되어 리스트에 예외 없이 오르게 되는데, 전세계의 트레이드그룹이 그리 많지가 않은 관계로 정보는 공유가 되며, 시장에든 재진입을 기회가 영구히 없어지게 된다. 이유는 Trader Client 계약을 하게 되기까지 이미 진행중인 기존마켓에 Client 자금이 투여가 될수 있는 기획을 하고, 자금이 투자가 되는 즉시 PPP마켓에서 정해진 플랜에 따라 수익을 만들어 내게 준비하게 되는데, Client 약속 불이행으로 기존의 마켓에 까지 심각한 영향을 초래함으로 인해 수습 하기 힘든 상황을 만들 수가 있다.


가짜 정보와 Program 구분법 한국에서 PPP 대해 많은 정보와 상식이 있는 사람들이 의외로 풍부하다. 그러나 사람들의 대부분이 전형적인 ‘Scam(신용 사기) 의해 만들어진 정보와 방식들을 접하고 있으며 이것을 기정사실로 여기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어떻게 하면 이런 틀을 구분할 있을까 하는 것이 사업을 진행하는데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Scam ” Scam Frame이란 것은 사실이 아닌 환경을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이야기를 하기에 사실로 인정되고 있는 현상을 이야기 한다. 물론 이들중에 정상적인 PPP 진입을 하게 되면 틀을 벗어날 기회를 만나게 되겠지만 그동안 알아왔던 환경이 갑자기 바뀌는 데에서 오는 불안감과 진실의 판단에 대한 불신감으로 인해 좋은 기회와 사람을 만났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놓치는 경우가 생기게 것이다. 이에 일반적인 PPP Scam 대한 구분법을 알아보고 올바른 지식을 갖가지는 것이 필요하여 가지 사례를 정리해 본다.


세계의 정상적인 사업의 이면에는 보다 가짜들이 기생하는 법이다. 특히 PPP라고 하는 분야에서 많은 Scammer 판을 치는 이유는 PPP 진행하는 플랫폼회사 트레이더들이 거래에 대한 모든 정보를 철저히 non-solicitation 환경으로 지켜오고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이미 거래가 끝난 오픈된 정보들을 아직도 진행중인 거래로 포장하거나, 그럴듯한 조건을 만들어 고객들 이끌어 내고자 하는 고질화 조커브로커들의 활동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차라리 구찌빽이나 롤랙스시계라면 진품과 비교 정도는 수가 있겠지만, PPP 비교할 있는 진품이라고는 나와있는 것이 없으니 이런 사기꾼들에게는 이상 좋은 환경과 조건이 없는 셈이다.


1) 인터넷, 또는 Bulletin Board

어떤 플랫폼회사이든 정상적인 트레이더는 현재나 향후 진행이 새로운 PPP프로그램을 인터넷이나 Public Domain 올리지 않는 다는 것을 알고 이에 현혹되는 일이 없기를 바란다. 정상적인 트레이더들은 절대로 어떤 프로그램이든 사전에 인터넷으로 올라오질 않는 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그렇다면 많은 검색엔진에 올라와 있는 것은 무엇일까? 답은전부 사기다이다.

PPP 광고나 프로모션을 통해 사람을 모집하는 형태의 사업이 아니다. 구글이나 야후에서 ‘PPP’ 입력하면 필요한 PPP 금액과 기간, 조건, 심지어 이윤까지 밝히고 연락을 기다리는 글들을 많이 보게 된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서 진행된다는 그럴싸한 말들과 전문적인 용어들로 치장을 하고 있지만 이는 단순히 Client 유인하기 위해 내건 미끼에 불과하다. PPP만큼 인터넷의 메시지 보드, 블로그에서 넌센스가 많은 것도 없다.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특히 외국어와 외국인에 약한 우리들을 대상으로) 고수익의 PPP 대해 많은 기회를 접하고 언제든 프로그램에 자본만 있으면 아무런 장벽 없이 진입 있다 잘못된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들이 제안하는 이익의 % 또한 심상치 않을 정도로 환상적이다. (정상적인 브로커는 절대로 이윤 % 공개하거나 홍보하지 않는다.)

모든 PPP프로그램은 투자자금의 환경과 금액, 마켓의 현황, 트레이드그룹의 상황에 따라 변하고 절대적인 표준은 없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에 맞춘다 하더라도, 1000 중에 명꼴로 기회가 Open되는 마켓이란 사실을 알면 미리 인터넷에 사전 조건을 걸어 놓고 사람들 모집하는 행위가 얼마나 뻔한 Scam이며, 상식적으로 생각을 해도이것은 뭔가 아니다 것을 것이다.


2) 단순히 있는 Scam 분류 

소개를 하는 사람(브로커, 모집전문 플랫폼회사, 또는 누구든지) 컨설팅비용이나, 선불을 요구하는 경우 

⊙ PPP 대한 진입을 위한 철저한 준비를 마치기도 전에 이윤의 분배에 대한 계약, 또는 Fee Agreement 먼저 요구하는 경우( 경우가 사람들이 가장 쉽게 빠지는 경우이다. 일반적인 브로커와의 계약 정도로 이해를 하기 때문.)

⊙ LOI(Letter of Intent) NCND(비밀유지협약서), MOU 등을 제시하는 경우 

⊙ BG, 또는 MTN Bank Instrument 통해 PPP 브로커로부터 권유 받은 경우 

여러 사람들의 자금을 합쳐 PPP 진입을 한다며 권유를 받은 경우 

연금이나 보험자금을 진행해 주겠다며 나서는 경우 

⊙ 10MUSD 미만의 PPP임에도 정상적인 40 프로그램을 권유받은 경우 

트레이더들의 이름과 주소, 또는 그들로부터 받은 Authenticity Letter(진실확인서) 들고 다니며 마케팅을 하는 경우 ( 어떤 트레이더도 Letter of Confirmation, Letter of Authorization, Letter of Appointment등의 브로커에 대한 사실확인서나 프로그램의 진위성에 대한 서류를 만들어 주지 않는다.)

이익에 대한 Reference 은행에 지불된 기록을 보이며 마케팅을 하는 경우 (다단계의 판매자들이 수익에 대한 구좌를 들고 다니며 자신의 다단계를 마케팅하는 경우를 본적이 있는가? 믿음이 가던가?

이러한 방식으로 PPP 방식을 알리거나, 이를 보고 믿고자 하는 자들이 있다면 처음부터 다시 생각하기 바란다. PPP 결과를 보여 줘야 믿음을 갖겠다면, PPP로부터 거대한 수익을 만든 개인구좌를, 그것도 해외의 비밀구좌나 회사의 구좌에 있는 수익을 열람시키는 방법뿐이다. 어떠한 사람이 고객으로부터 믿음을 얻지 못하는 브로커에게 자신의 구좌를, 그것도 수백억, 수천억 이상의 이윤이 발생되는 구좌를 공개 하겠는가당연히 사기인 것이다. 지난 50년간 그렇게 다른 사람의 구좌를 들고 다니며 PPP 권유하는 정상적인 브로커는 없었고, 그럴 필요도 없는 마켓이란 사실에 집중하여야 한다.


한가지 분명히 말씀 드리고자 하는 것은 Private Placement Program 투자가 아니다. 고객의 자금을 PPP 진입을 시키면서 일반적인 투자 방식으로의 컨설팅을 제공하는 브로커 변호사가 있다면 그가 누구든 어떤 사회적 지위를 가지고 있든, 또한 분야에 처음이거나 초보자란 사실을 알아야 한다.


한가지 재미있는 사실은 PPP 소개하면서 정부의 프로젝트와 연관성이 있음을 강조하거나, 국가 금융기관을 들먹이며 그럴듯한 목의 투자를 이야기 하는 자들이 있다면, 또한 조심해야 한다. 어떤 나라의 Authirity, 금융세계든 “PPP 없는 시장으로 공식 적인 인정을 한다는 것을 알아야 하며, 이를 우리도 기분 좋게 인정을 하고 있다는 사실! 그래서 아예없는 시장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모든 것이 Closed Market 환경에서 진행되도록 인정 받는다는 단순한 진실을 명심하기 바란다.


◆ Bond 역사 본드는 우리나라 말로 채권이다. 이러한 개념이 현재 자본주의와 금융자본이 지배하는 현대사회에 어떻게 자리 메김하고 있는지 사용범위와 경제사회에 어떤 위치와 파워를 가지고 있는지 개념에 대한 정리가 필요하다.


채권의 역사는 무구하다. 절대군주제가 생기고 나서 전쟁자금, 재건자금 왕가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손쉽게 사용 가능했던 것이 정부발행 채권이었다. 그런데 절대군주의 지나친 사치와 빈번한 전쟁으로 국채로 조달한 자금을 탕진하자 왕가도 몰락의 길을 걷게 되었다.

절대군주제가 흔들리던 시대에 이들에게 자금조달을 해주던로스차일드 같은 가문과 모험을 즐기는 신흥부호들이 부상하게 되었다. 이들은 절대군주가 망하는 시대에 맞추어 채권의 역사를 다시 쓰게 된다.


중상주의 시대에는 이들의 부흥으로 스미스의 자유방임주의가 탄생을 하였고 이로 인한 영향은 사회 전반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예를 CHEAP GOVERNMENT 개념이 도입되어 세금도 적게 걷고 가능하면 채권 발행을 억제하는 대신 자율 시장제도를 도입하여 시장의 논리에 모든 산업을 맡기게 되었다. 이것은 균형재정을 추구한 것으로 원리금 상환이 가능한 유료도로나 공공건설 채권발행에 국한된 자금조달 정책을 펴게 되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것은 부익부 빈익빈의 시대를 열게 되고 금융위기를 불러왔다. 적은 정부 정부는 완전고용을 추구할 없고 시장논리에 맡긴 상거래는 실제로 기득권의 부를 더욱 채워주는 역할만 것이다.


결국 케인즈에 의한 유효수요정책으로 전환되면서 공채발행을 통해 완전고용과 시장독점주의를 제한하면서 금융위기를 탈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조세수입으로 조절하려던 물가도 채권과 연동하는 정책으로 변화하게 되고 채권은 더욱 생산적으로 산업에 도움이 된다는 개념이 자리를 잡게 되었다.

채권의 발행이 소극적인 자산보존의 의미에서 적극적인 생산효과 증대로 발전하는 계기가 마련되면서 세계적인 변화를 불러오는 계기 되었고 국제거래에서 채권의 거래가 대규모로 이루어지면서 더욱 세계가 하나가 되는 계기가 마련된 것이다.


결국 채권은 분야별로 나누어 지면서 국채, 공채, 지방채, 회사채 등으로 분류되면서 발행되게 되었고 이러한 활동이 완전고용, 소득분배, 경제성장의 의미로 전환되면서 우리나라와 같은 신흥선진국이나 개발도상국은 적극적인 활용을 통해 발전을 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나 채권의 신용등급은 국제거래에서 국가의 신용등급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경제상황과 정치상황을 고려하게 유통되고  매매되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체적으로 신용등급을 올리는 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는데 실제로 공사채를 발행해도 결국 사줄곳이 없어서 자금조달이 되는 그런 상황인 것이다.


이러한 것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 BI Buy & Sell이나 BI Lease 것이다. 신용등급을 상향조정하기 위해서는 보증서를 받아 보강하는 법이 있는데 이것이 BI 연결된 제반 활동인 것이다. 신용등급을 올리지 않으면 결국 발행된 채권은 휴지와 같아 국제거래를 성사할 없게 되므로 BI 이용하여 신용등급을 상향 조정하는 경우는 선진국에서는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경제활동인 것이다.

채권의 수요시장은 자본이 풍부한 선진국이 밖에 없으며, 발전된 금융 시스템을 바탕으로 이것의 원활한 거래와 수요공급 조절을 위한 초기 시스템에서 하나의 금융기법으로 발전하여 생산적 재원 창출을 위한 독자적 시스템으로까지 발전 하였다. 세계 유휴자본 (개인, 기업, 재단, ) 시장으로 이동하고 시장은 이것을 파생상품으로 유동화 하거나 각각의 맞는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수요자(주로 선진국 자본을 근간으로 하는 기업)에게 제공하여 수익을 벌어들이는 구조로 발전 것이다.


◆ Deal Closer Joker Broker 정보는 별도 공개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