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빈도 거래란 무엇인가요?

 HFT(고빈도 거래) 무엇인가요?

  • HFT(High-frequency trading)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수많은 주문을 실행하고, 아주 작은 가격 차이에서 이익을 취하는 초고속 전자 거래 방식입니다. 일반적으로 1초에 수십에서 수백 건의 주문이 처리되며, 대부분의 주문은 수초 이내에 체결 또는 취소됩니다. 이는 최적 알고리즘, 고성능 하드웨어, 초고속 네트워킹의 완벽한 조합을 통해 실현됩니다.


HFT 주요 전략에는 어떤 것들이 있나요?

  • HFT 다양한 전략을 활용하지만, 대표적인 전략으로는 시장 조성(Market Making) 통해 매수 매도 호가를 제시하여 유동성을 제공하고 스프레드에서 이익을 얻는 방식, 미시적 차익 거래(Arbitrage) 통해 여러 거래소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 이벤트 기반 거래(Event-Driven Trading) 뉴스 발표 등의 이벤트에 빠르게 반응하여 이익을 얻는 방식, 그리고 통계적 차익 거래(Statistical Arbitrage) 과거 데이터 분석을 통해 가격 패턴을 활용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레이턴시 차익거래, 헤지 차익거래, 페어 트레이딩, 인공지능 기반 거래, 스캘핑 등도 HFT 전략에 포함됩니다.


HFT 시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요?

  • HFT 시장에 높은 유동성을 공급하여 거래 체결 건수를 증가시키고 매수 매도 주문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또한, 빠른 주문 체결과 좁은 호가 스프레드를 통해 거래 비용을 절감하는 기여하며, 다수의 거래 참여를 통해 적정한 가치가 반영된 가격 형성을 돕고 일시적 가격 왜곡을 신속하게 바로잡아 시장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가격 발견 기능을 제고합니다.


HFT 위험성 단점은 무엇인가요?

  • HFT 알고리즘 오작동이나 일시적 유동성 부족 극단적인 가격 변동을 초래할 있으며, 플래시 크래시와 같은 초대형 가격 하락 사태 발생 위험이 있습니다. 알고리즘 오류나 컴퓨터 장애는 시스템 위험으로 이어질 있으며, 시스템 상호 연계로 위기가 전이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HFT 업체가 정보 우위나 거래소 접근성을 이용하여 불공정 거래를 가능성이 제기되며, 일반 투자자에게 불이익을 초래할 있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시장 변동성을 심화시키고 '종이 위의 유동성'이라는 비판도 존재합니다.


HFT 대한 규제 동향은 어떻습니까?

  • 플래시 크래시 사건 이후 미국 SEC HFT 규제를 강화하여 투자자 보호, 투명성 제고, 시스템 리스크 관리 세부 규정을 마련했습니다. 유럽은 MiFID II 통해 HFT 업체에 자기 자본 요건 등을 부과하고 등록 보고 의무, 거래 정지 규칙 등을 도입했습니다. 독일은 고빈도거래법을 제정하여 금융감독원의 허가, 자본금 요건, 알고리즘 관련 세부사항 요구 금지 권한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한국은 아직 직접적인 규제가 미흡한 상태이지만, 자본시장법 개정을 통해 시장교란행위로 처벌할 있도록 하는 규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개인 투자자가 HFT 전략을 활용할 있는 방법이 있나요?

  • 개인 투자자는 대개 HFT 필요한 기술적 능력이나 자원이 부족하지만, 알고리즘 트레이딩 플랫폼을 이용하거나, 시장의 마이크로 구조를 이해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마이크로 구조적 접근 방식을 취할 있습니다. 일부 로보 어드바이저는 HFT 방식을 모방한 투자 전략을 제공하기도 하며, HFT 원리에 대한 교육과 지식 확장을 통해 정보에 기반한 투자 결정을 내릴 있습니다.


HFT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인프라는 무엇인가요?

  • HFT 속도가 핵심이므로 거래소와 지리적으로 가까운 데이터 센터에 위치한 강력한 서버 또는 VPS 필요합니다. 낮은 주문 실행 지연을 위해 Equinix 데이터 센터에 서버가 위치하거나 FIX API, Direct Market Access (DMA) 제공하는 브로커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술 사양으로는 Intel Xeon 또는 AMD EPYC CPU, 4GB 이상의 RAM, 10Gbps 초저지연 네트워크 카드, Windows Server 운영체제 등이 권장됩니다.


Dell EMC PowerEdge R650 서버는 HFT 관련하여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 Dell EMC PowerEdge R650 고성능 컴퓨팅 네트워킹 옵션을 제공하여 HFT 같은 요구사항이 높은 워크로드를 지원할 있습니다. PCIe Gen4 슬롯을 지원하여 고속 네트워크 카드 스토리지와의 연결을 강화하며, OCP 3.0 rNDC 카드 지원을 통해 다양한 네트워킹 구성을 제공합니다. SNAP I/O 기술을 활용하여 I/O 성능의 균형을 맞추고 데이터 접근 지연 시간을 최소화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HFT에서 중요한 빠른 데이터 처리 낮은 레이턴시 구현에 기여할 있습니다.



EMC PowerEdge R650 고빈도 거래(HFT) 학습 가이드


EMC PowerEdge R650 개요

EMC PowerEdge R650 다양한 비즈니스 워크로드 요구 사항을 충족하도록 설계된 서버입니다. 전면 후면에 다양한 스토리지 PCIe 슬롯 구성을 지원하며, Quick Resource Locator(QRL) 코드를 통해 시스템 정보 지원 리소스에 빠르게 접근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외부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지원하며, 유연한 네트워킹 옵션을 제공합니다. 전력 효율성과 관리에 대한 기능도 포함하고 있으며, 다양한 설치 옵션을 지원합니다.


고빈도 거래(HFT) 개요

고빈도 거래(HFT) 컴퓨터 알고리즘과 초고속 거래 시스템을 사용하여 매우 짧은 시간 동안 대량의 주문을 실행하고 취소함으로써 작은 가격 차이를 이용하는 거래 방식입니다. HFT 시장 유동성 공급, 거래 비용 절감, 가격 발견 기능 제고와 같은 이점을 제공하지만, 극단적인 가격 변동 초래, 시스템 위험 내재, 불공정 거래 가능성과 같은 위험도 동반합니다. 세계적으로 HFT 대한 규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알고리즘의 정확성, 초고속 인프라, 위험 관리가 HFT 성공의 핵심 요소로 작용합니다.


퀴즈

  1. EMC PowerEdge R650 전면 뷰에서 8개의 2.5인치 NVMe 섀시와 10개의 2.5인치 SAS/SATA 또는 NVMe 섀시는 어떤 그림 번호로 식별할 있습니까? (2-3 문장)
  2. EMC PowerEdge R650 후면 뷰에는 어떤 다양한 구성이 가능합니까? (2-3 문장)
  3. EMC PowerEdge R650 Quick Resource Locator(QRL) 어떤 정보를 제공하며, EST QRL 일반 QRL 어떻게 다릅니까? (2-3 문장)
  4. EMC PowerEdge R650 지원하는 외부 스토리지 디바이스 유형은 무엇입니까? (2-3 문장)
  5. PowerEdge R650에서 SNAP I/O 지원의 가치 제안은 무엇입니까? (2-3 문장)
  6. EMC PowerEdge R650 전원 관리 기능 PSU 전원 모니터링 정확도와 전력 제한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2-3 문장)
  7. 고빈도 거래(HFT) 작동 원리에는 어떤 가지 핵심 요소가 포함됩니까? (2-3 문장)
  8. 고빈도 거래(HFT) 주요 이점 가지는 무엇입니까? (2-3 문장)
  9. 고빈도 거래(HFT) 주요 위험 가지는 무엇입니까? (2-3 문장)
  10. 개인 투자자가 고빈도 거래(HFT) 전략을 활용할 있는 방법은 무엇입니까? (2-3 문장)


퀴즈 정답

  1. 8개의 2.5인치 NVMe 섀시 R650 전면 뷰는 그림 3으로, 10개의 2.5인치 SAS/SATA 또는 NVMe R650 전면 뷰는 그림 4 식별할 있습니다.
  2. R650 후면 뷰는 3개의 LP PCIe Gen4 슬롯 플러그 BOSS, 2개의 2.5인치 스토리지 드라이브와 1개의 LP PCIe Gen4 슬롯 플러그 BOSS, 또는 2개의 FH PCIe Gen4 슬롯 플러그 BOSS 후면 스토리지가 없는 구성이 가능합니다.
  3. 일반 QRL 제품 웹페이지로 연결되어 설정 서비스 비디오, iDRAC 매뉴얼 등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EST QRL 서비스 태그에 특정되며 서비스 태그 번호와 iDRAC 암호를 포함하고 고객의 정확한 구성 구매한 보증을 보여주는 웹페이지로 연결됩니다.
  4. PowerEdge R650 외부 테이프, NAS/IDM 어플라이언스 소프트웨어, JBOD, RBOD 같은 외장형 스토리지 디바이스를 지원합니다.
  5. SNAP I/O 지원은 Mellanox Socket Direct 기술을 활용하여 프로세서가 하나의 어댑터를 공유하도록 허용함으로써 데이터가 원격 메모리에 액세스할 UPI 프로세서 링크를 트래버스하지 않도록 방지하여 TCO 증가 없이 I/O 성능의 균형을 맞추는 솔루션입니다.
  6. PSU 전원 모니터링 정확도는 업계 표준인 5% 대비 Dell 현재 1% 정확도를 제공하여 나은 전원 보고를 가능하게 합니다. 전력 제한은 Dell 시스템 관리를 사용하여 시스템의 전원 상한을 설정하고 PSU 출력을 제한하며 시스템 소비 전력을 줄이는 기능입니다.
  7. 고빈도 거래(HFT) 작동 원리에는 복잡한 알고리즘 전략, 최첨단 거래 시스템 (고성능 하드웨어, 초고속 네트워킹), 그리고 상호 연결된 거래소가 포함됩니다.
  8. 고빈도 거래(HFT) 주요 이점은 높은 유동성 공급, 거래 비용 절감, 그리고 가격 발견 기능 제고입니다.
  9. 고빈도 거래(HFT) 주요 위험은 극단적 가격 변동 초래 (: 플래시 크래시), 시스템 위험 내재 (시스템리스크), 그리고 불공정 거래 가능성입니다.
  10. 개인 투자자는 알고리즘 트레이딩 플랫폼 이용, 시장의 마이크로 구조 이해를 통한 전략 수립, 로보 어드바이저 활용, HFT 원리 시장 변화에 대한 교육 지식 확장 등을 통해 HFT 전략을 활용할 있습니다.


에세이 질문

  1. EMC PowerEdge R650 다양한 하드웨어 구성 옵션이 지원하는 워크로드 유형과 비즈니스 요구 사항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십시오.
  2. EMC PowerEdge R650에서 제공하는 시스템 관리 지원 기능이 서버 운영 유지보수의 효율성에 어떻게 기여하는지 설명하십시오.
  3. 고빈도 거래(HFT) 금융 시장의 유동성과 효율성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영향이 일반 투자자에게 미치는 결과에 대해 논하십시오.
  4. 고빈도 거래(HFT) 관련된 주요 위험 요소를 식별하고, 이러한 위험을 관리하고 완화하기 위한 기술적 규제적 대처 방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십시오.
  5. 기술 발전(: AI, 머신러닝, 네트워크 속도) 고빈도 거래(HFT) 전략 미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논하고, 이러한 기술 발전이 금융 시장 생태계에 가져올 변화에 대해 예측하십시오.


용어집

  • NVMe (Non-Volatile Memory Express):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시스템 플랫폼 간의 비휘발성 스토리지 인터페이스 규격. 빠른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합니다.
  • SAS (Serial Attached SCSI): 컴퓨터 스토리지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표준.
  • SATA (Serial ATA): 컴퓨터 스토리지 드라이브를 연결하는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표준. SAS보다 일반적으로 느립니다.
  • PCIe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컴퓨터의 구성 요소(: 그래픽 카드, 네트워크 카드) 연결하는 사용되는 고속 직렬 확장 버스 표준. LP (Low Profile), FH (Full Height) 카드의 크기를 나타냅니다.
  • 플러그 BOSS (Boot Optimized Storage Solution): 시스템 부팅에 사용되는 스토리지를 최적화하고 시스템 작동 중에 교체 가능한 솔루션.
  • QRL (Quick Resource Locator):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스캔하여 제품 정보, 비디오, 지원 자료 등에 접근할 있는 코드.
  • EST (Embedded Service Tag): 시스템에 내장된 서비스 태그 정보.
  • NAS (Network Attached Storage):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할 있는 파일 수준 데이터 스토리지 서버.
  • IDM (Intelligent Data Management): 데이터 관리를 자동화하고 최적화하는 솔루션.
  • JBOD (Just a Bunch Of Disks): 디스크 드라이브만 포함하며 RAID 같은 고급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 스토리지 인클로저.
  • RBOD (Redundant Array of Independent Disks Bunch Of Disks): RAID 기능이 포함된 JBOD 일종.
  • PSU (Power Supply Unit): 서버에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 80 PLUS, Climate Savers, ENERGY STAR: 전원 공급 장치의 에너지 효율성을 인증하는 프로그램.
  • iDRAC (integrated Dell Remote Access Controller): Dell 서버의 원격 관리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는 하드웨어.
  • Lifecycle Controller: 시스템 배포, 업데이트 구성 작업을 간소화하는 Dell 서버의 내장 관리 기능.
  • 레일: 서버를 랙에 설치하는 사용되는 부품. 드롭인 스탭인 방식이 있습니다.
  • CMA (Cable Management Arm): 랙에 설치된 장비의 케이블을 정리하는 사용되는 부품.
  • SRB (Static Rail Bracket): 고정 레일을 랙에 고정하는 사용되는 브래킷.
  • HFT (High-frequency trading): 컴퓨터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매우 짧은 시간 동안 수많은 주문을 하는 초고속 거래 방식.
  • 알고리즘 거래: 미리 정의된 규칙에 따라 자동으로 거래를 실행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기반의 거래.
  • 시장 조성 (Market Making): 금융 상품에 대한 매수 매도 호가를 동시에 제시하여 시장에 유동성을 제공하는 전략.
  • 차익 거래 (Arbitrage): 동일하거나 유사한 자산의 서로 다른 시장 간의 가격 차이를 이용하여 이익을 얻는 전략. 미시적 차익 거래는 작은 가격 차이를 빠르게 이용합니다.
  • 이벤트 기반 거래 (Event-Driven Trading): 특정 경제 이벤트나 뉴스 발표에 따라 시장의 반응을 예측하여 거래하는 전략.
  • 통계적 차익 거래 (Statistical Arbitrage): 과거 데이터와 통계 모델을 기반으로 자산 간의 가격 관계 이상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는 전략.
  • 플래시 크래시 (Flash Crash): 매우 짧은 시간 동안 금융 자산 가격이 급격하게 폭락하는 현상.
  • 시스템 리스크 (Systemic Risk): 금융 시스템의 부분에서의 실패가 전체 시스템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쳐 금융 위기를 초래할 위험.
  • Co-location: 거래소 서버와 지리적으로 밀접한 데이터 센터에 거래 시스템을 설치하여 거래 지연 시간을 최소화하는 .
  • Latency (지연): 가격이 발견된 시점부터 거래가 체결되거나 취소되는 시점까지 걸리는 시간.
  • Market-neutral strategy: 시장의 전반적인 움직임에 관계없이 수익을 얻으려는 투자 전략.
  • Maker rebate: 유동성을 공급하는 지정가 주문을 제출하는 시장 조성자에게 제공되는 수수료 환급.
  • Taker fee: 유동성을 소비하는 시장가 주문을 제출하는 투자자에게 부과되는 수수료.
  • 정보 거래자 (Informed trader): 시장 가격에 아직 반영되지 않은 정보를 가지고 거래하는 투자자.
  • 선행 매매 (Front-running): 대량 거래자의 주문 정보를 미리 파악하여 해당 주문이 실행되기 전에 거래하여 이익을 얻는 행위.
  • 시세 조작 (Market manipulation): 인위적으로 자산 가격을 조작하여 이익을 얻는 불법적인 행위.
  • ATS (Alternative Trading System): 전통적인 거래소 외의 대체 거래 플랫폼.
  • NBBO (National Best Bid-Offer): 미국 증권 시장에서 특정 증권에 대해 전국적으로 이용 가능한 가장 좋은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
  • DOP (Display Only Period): 주문 접수 기간 동안 호가만 표시되고 거래는 이루어지지 않는 기간.
  • ULL (Ultra-Low Latency): 극도로 낮은 거래 지연 시간.
  • ULLT (Ultra-Low Latency Trading): 극도로 낮은 지연 시간을 활용하는 거래 방식.
  • ULLF (Ultra-Low Latency Fiber): 극도로 낮은 지연 시간을 제공하는 광섬유 네트워크.
  • Order resting time: 주문이 호가장에 머무르는 최소 시간.
  • IOSCO (International Organization of Securities Commissioners): 세계 증권 규제 기관의 국제 기구.
  • MiFID II (Markets in Financial Instruments Directive II): 유럽 연합의 금융 상품 시장에 대한 지침.
  • DMA (Direct Market Access): 트레이더가 거래소와 마켓 메이커에 직접 접근할 있는 서비스.
  • FIX API (Financial Information eXchang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금융 거래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 표준.
  • ECN (Electronic Communication Network): 전자적으로 매수자와 매도자를 연결하는 거래 시스템.
  • STP (Straight Through Processing): 거래 처리 과정을 자동화하여 인간의 개입 없이 직접 시장으로 전송하는 방식.
  • 슬리피지 (Slippage): 예상했던 가격과 실제 거래가 체결된 가격 사이의 차이.
  • Tier-1 은행: 금융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형 국제 은행.
  • Level II: 특정 증권에 대한 매수 매도 호가의 가격과 수량을 보여주는 시장 데이터.
  • CFTC (Commodity Futures Trading Commission): 미국 상품 선물 거래 규제 기관.
  • NFA (National Futures Association): 미국 선물 산업의 자율 규제 기관.
  • FCA (Financial Conduct Authority): 영국 금융 서비스 산업 규제 기관.
  • ASIC (Australian Securities and Investments Commission): 호주 금융 서비스 소비자 신용 산업 규제 기관.
  • CySEC (Cyprus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 키프로스 증권 거래 위원회.
  • VPS (Virtual Private Server): 가상화 기술을 사용하여 물리적 서버 내에 생성된 가상 서버.
  • 레이턴시 차익 거래 (Latency Arbitrage): 거래소 간의 미세한 가격 정보 전달 지연 시간을 이용하여 이익을 얻는 차익 거래 전략.
  • 헤지 차익 거래 (Hedge Arbitrage): 상관관계가 있는 자산의 가격 불균형을 이용하여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이익을 얻는 차익 거래 전략.
  • 페어 트레이딩 (Pair Trading): 과거 상관관계가 높은 자산 간의 가격 편차를 이용하여 평균 회귀를 기대하며 거래하는 전략.
  • 스캘핑 (Scalping): 짧은 시간 동안 미세한 가격 변동을 이용하여 빈번하고 빠른 거래로 작은 이익을 축적하는 전략.
  • 백테스팅 (Backtesting): 과거 데이터를 사용하여 거래 전략의 성능을 테스트하는 .
  • 파라미터 튜닝 (Parameter Tuning): 알고리즘 성능을 최적화하기 위해 알고리즘 매개변수를 조정하는 .
  • 오버피팅 (Overfitting): 모델이 학습 데이터에 너무 맞춰져서 새로운 데이터에 대한 예측 성능이 떨어지는 현상.
  • 손절매 (Stop-loss): 특정 자산 가격이 정해진 수준 이하로 하락할 경우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실행하여 손실을 제한하는 .
  • 이익 실현 (Take-profit): 특정 자산 가격이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상승할 경우 자동으로 매도 주문을 실행하여 이익을 확보하는 .
  • 스트레스 테스트 (Stress Test): 극단적인 시장 조건에서 시스템이나 전략의 성능을 평가하는 .
  • 쿼트 스터핑 (Quote stuffing): 시장에 대량의 주문을 빠르게 넣었다가 취소함으로써 다른 트레이더의 알고리즘을 혼란시키고 가격을 조작하려는 전략.
  • 스위치 (Kill switch): 비정상적인 거래 패턴이 감지될 자동으로 거래를 중단시키는 안전 장치.



알고리즘 거래가 금융 시장의 안정성과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알고리즘 거래, 특히 초단타 매매(High-Frequency Trading, HFT) 컴퓨터가 완전히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자동화된 주식 거래 시스템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식을 보유하는 시간을 밀리초(milliseconds) 마이크로초(microseconds) 단위로 크게 줄이며, 투자의 질보다는 누가 가장 빠르게 거래할 있는지가 결정적인 요소가 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때로 '전쟁 (Waring Bots)'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금융 시장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자동화된 거래는 원래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의도 시작되었으나, 실제로는 정반대의 결과 낳았습니다. 자동화로 인해 시장은 더욱 취약해졌습니다.

알고리즘 시스템은 해킹될 위험이 있습니다.

초단타 매매는 위기, 재난, 또는 정치적 결정으로 인해 가격 변동이 가장 효과적이며, 본질적으로 위기 상황으로부터 이익을 얻으려 대기합니다.

플래시 크래시(Flash Crash) 같은 갑작스러운 시장 붕괴는 알고리즘 거래와 관련이 있습니다.

  ◦ 2018 2 5, 다우존스 지수가 만에 1500포인트 이상 폭락하며 하루 동안 2 달러가 증발하는 사건이 있었습니다. 이는 사상 최대 낙폭이었습니다.

  ◦ 2010 5 6일에도 유사한 플래시 크래시가 발생했습니다. 대규모 매수 주문이 자동 실행 알고리즘을 통해 이루어지자, '머니 (money Bots)'으로 불리는 초단타 거래 시스템들이 번개처럼 빠르게 거래를 시작했고 주가가 즉시 폭락했습니다. 13 후에는 시장 유동성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 총체적 붕괴 위험에 처해 거래가 중단되기도 했습니다. 전문가들은 봇이 최대 계약 수를 매수한 동시에 포지션을 변경하면서 발생한 '디지털 스탬피드(digital Stampede)' 원인일 있다고 추정하지만, 원인은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초단타 거래자들의 집단적인 상호작용으로 인해 시장이 점점 빨라지면서 불안정성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우려하는 시각도 있습니다. 알고리즘은 프로그램된 대로 반사적으로 움직이며, 멈추는 것이 나을 때조차 계속 거래를 합니다.

이러한 불안정성 증가는 아무런 유용한 목적 없이 소수의 사람들을 부유하게 만들 뿐이라고 비판받기도 합니다.


금융 시장 공정성에 미치는 영향:


초단타 거래자들은 증권 거래소 컴퓨터 시스템과 물리적으로 가까운 곳에 자신들의 컴퓨터를 설치하는 코로케이션(co-location) 통해 속도 우위 확보합니다. 근접성이 시간이고, 시간이 돈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속도 우위를 통해, 초단타 거래자는 다른 투자자의 대규모 주문을 먼저 감지하고 해당 주식을 선매수하여 원래 주문을 투자자에게 비싼 가격으로 즉시 되팔아 위험 부담 없이 이익을 취할 있습니다. 이는 정보 비대칭과 속도 차이를 악용한 불공정 거래로 비춰질 있습니다.

하이메 보데크(Heim Bodek) 과거 유렉스(Eurex) 거래소에서 가격 정보를 남들보다 빠르게 얻는 '속임수(cheat)' 발견하여 이를 이용한 경험이 있으며, 나중에 자신이 내부고발한 초단타 거래의 '남용(abuses)' 유사한 행위였음을 깨달았습니다.

그가 UBS에서 개발한 '사이즈 게임(size game)' 알고리즘은 대규모 주문에 우선권이 주어지는 시장 특성을 이용하여, 인위적으로 주문량을 부풀려 다른 경쟁자들을 밀어내는 방식이었습니다. 이는 실제 체결되면 막대한 손실을 있는 '치킨 게임(game of chicken)' 같은 위험을 수반했으며, 원치 않는 대규모 체결을 다른 거래소에 즉시 넘겨버리는 ' 포테이토(hot potato)' 같은 알고리즘이 필요했습니다. 보데크는 알고리즘이 미국 옵션 시장 데이터 시스템을 붕괴 직전까지 몰고 갔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보데크는 거래소가 초단타 거래자를 유치하기 위해 기능을 만들었으나, 결국에는 '속임수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피해자가 되거나' 하나를 강요하는 시스템이 되었으며, 시스템 안에서는 '순수함' 존재할 없었다고 폭로했습니다.

초단타 거래 업계에서 말하는 '스피드' 사실 특수 주문 유형이나 규제 예외 조항 다른 사람보다 앞서나가기 위한 여러 '트릭(tricks)' 숨기기 위한 '붉은 청어(red herring)' 있습니다.

보데크의 폭로 이후 공정성을 높이기 위한 문서화와 규제 변경이 있었지만, 이를 제대로 읽고 이해한 사람들은 결국 초단타 거래자들뿐이었으며, 이는 의도와 달리 시장을 공정하게 만드는 기여하지 못했습니다.

보데크는 20년간 업계에 몸담은 , 자신이 처음에 '올드 보이 클럽(old boys club)' 대체하려 했지만, 결국은 '올드 보이 클럽을 자동화' 셈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는 불공정함과 특권층이 새로운 기술을 통해 자동화되어 여전히 시장에서 강력하게 유지되고 있다 그의 시각을 보여줍니다.



하이 프리퀀시 트레이딩(HFT) 규제


금융 기술의 발전, 특히 알고리즘 거래와 초단타 매매(HFT) 원래 금융 시장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의도 도입되었습니다. 1987 주가 폭락 이후, 당국은 사람의 불안정성 때문에 컴퓨터에게 많은 거래를 맡기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자동화가 시장을 더욱 취약하게 만들었습니다.


하이 프리퀀시 트레이더들은 시장 규칙, 특수 주문 유형, 규제 예외 조항 등을 활용하여 다른 시장 참여자들보다 앞서나갔습니다. 하이메 보데크는 유렉스(Eurex) 거래소에서 가격 정보를 남들보다 빠르게 얻는 '속임수(cheat)' 발견하고 이를 이용했으며, 나중에는 이것이 자신이 내부고발한 초단타 거래의 '남용(abuses)' 유사했음을 깨달았습니다. 그의 '사이즈 게임(size game)' 알고리즘은 미국 옵션 시장 데이터 시스템을 붕괴 직전까지 몰고 만큼 강력했는데, 이는 시스템 규칙의 허점을 파고든 결과였습니다

보데크는 업계에서 살아남으려면 '속임수를 사용하거나' 아니면 '피해자가 되는' 이분법적인 구조였으며, 시스템 안에서는 '순수함' 존재할 없다고 폭로했습니다. 그는 초단타 거래 업계가 말하는 '스피드' 사실 특수 주문 유형이나 규제 예외 조항 여러 '트릭(tricks)' 숨기기 위한 '붉은 청어(red herring)'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러한 HFT 문제점과 시장 불안정성(: 플래시 크래시) 대한 인식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규제는 여러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1. 규제 시도의 어려움 좌절 (유럽):

하이 프리퀀시 트레이딩 비평가들은 유럽연합(EU) 차원의 규제를 위해 수년간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EU 2004 MiFID I 지침이 시장의 민영화를 장려했고, 이는 거래소들이 새로운 고객(HFT 거래자 ) 유치하게 만들면서 HFT 유럽 시장에서 발판을 마련하는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 EU 의회가 통과시킨 하이 프리퀀시 트레이딩 관련 규정들(: 0.5 보유 기간 의무화, 취소 수수료 부과) EU 이사회의 재무장관들에 의해 막판에 뒤집히는 어려움 겪었습니다.

독일과 같은 국가에서는 어떤 기업들이 HFT 참여하고 얼마나 수익을 얻는지조차 파악하기 어려워 효과적인 해결책 마련이 요원한 상황입니다. 게르하르트 쉬크는 HFT 문제의 증상일 뿐이라고 보았습니다.


2. 규제 정보 공개의 한계 (미국):

하이메 보데크는 자신의 회사 실패 원인이었던 거래소의 '남용' 발견한 내부고발자가 되었습니다.

그는 시장의 경쟁 환경을 '균등하게 만드는 (level the playing field)' 목적으로 미국 연방 관보에 500페이지가 넘는 변경 사항 기능 설명 문서를 게시했습니다.

하지만 보데크는 문서를 제대로 읽고 이해한 유일한 사람들은 바로 초단타 거래자들이었다 말했습니다. 규제 변경의 의도와 달리, 그는 시장이 공정해지지 않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HFT 업계 경영진들이 규제 대응(regulatory response) 대해 제대로 알고 있었고, 규제를 자신들이 관리할 있는 수준으로 밀어붙였다고 언급했습니다.

결과적으로, 보데크는 20년간 업계에 몸담은 , 자신이 처음에 '올드 보이 클럽(old boys club)' 대체하려 했지만, 결국은 '올드 보이 클럽을 자동화(automated the old boys club)' 셈이라고 결론 내렸습니다. 이는 기술 발전과 규제가 기존의 불공정함과 특권층을 근본적으로 바꾸지 못했음을 시사합니다.


요약하자면, 하이 프리퀀시 트레이딩 규제는 시장 불안정성 불공정 거래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시도되었으나, 기술 발전의 빠른 속도와 복잡성, HFT 거래자들의 시스템 규칙 악용, 그리고 규제 자체의 복잡성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진행되는 어려움 겪었습니다. 유럽에서는 규제 시도가 좌절되거나 국가별 파악조차 어려운 상황이며, 미국에서는 내부고발을 통한 정보 공개 노력이 있었으나, 정작 정보를 활용하여 시장 환경을 개선한 것은 규제 대상인 HFT 거래자들뿐이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Post a Comment

Previous Post Next Post